국문과 유목민

[18주차] 개인 회고 (FinalProject_Week1) 본문

IT 견문록/2022_부스트캠프 AITech 3기(100일)

[18주차] 개인 회고 (FinalProject_Week1)

논곰 2022. 5. 20. 23:59

1) 강의 복습 내용

[일일리포트] Day 81 (ProductServing_1/ FinalProject_1)

[일일리포트] Day 81 (ProductServing_1/ FinalProject_1)

해당 일일리포트에서는 네이버 커넥트에서 진행하는 '부스트캠프 AI Tech 3기'에서 배운 내용을 다루고 있습니다. 저작권 이슈 때문에 관련 자료를 올릴 수는 없기에 핵심 이론과 코드를 요약해서

cold-soup.tistory.com

[일일리포트] Day 82 (프로토타입_1 / FinalProject_2)

[일일리포트] Day 82 (프로토타입_1 / FinalProject_2)

해당 일일리포트에서는 네이버 커넥트에서 진행하는 '부스트캠프 AI Tech 3기'에서 배운 내용을 다루고 있습니다. 저작권 이슈 때문에 관련 자료를 올릴 수는 없기에 핵심 이론과 코드를 요약해서

cold-soup.tistory.com

[일일리포트] Day 83 (프로토타입_2/ FinalProject_3)

[일일리포트] Day 83 (프로토타입_2/ FinalProject_3)

해당 일일리포트에서는 네이버 커넥트에서 진행하는 '부스트캠프 AI Tech 3기'에서 배운 내용을 다루고 있습니다. 저작권 이슈 때문에 관련 자료를 올릴 수는 없기에 핵심 이론과 코드를 요약해서

cold-soup.tistory.com

[일일리포트] Day 84 (프로토타입_3/ FinalProject_4)

[일일리포트] Day 84 (프로토타입_3/ FinalProject_4)

해당 일일리포트에서는 네이버 커넥트에서 진행하는 '부스트캠프 AI Tech 3기'에서 배운 내용을 다루고 있습니다. 저작권 이슈 때문에 관련 자료를 올릴 수는 없기에 핵심 이론과 코드를 요약해서

cold-soup.tistory.com

[일일리포트] Day 85 (FinalProject_5)

[일일리포트] Day 85 (FinalProject_5)

해당 일일리포트에서는 네이버 커넥트에서 진행하는 '부스트캠프 AI Tech 3기'에서 배운 내용을 다루고 있습니다. 저작권 이슈 때문에 관련 자료를 올릴 수는 없기에 핵심 이론과 코드를 요약해서

cold-soup.tistory.com

2) 과제 수행 과정 / 결과물 정리

[Ipywidget] Ipywidget 명령어

[Ipywidget] Ipywidget 명령어

 ipywidgets는 주피터 노트북과 IPython 커널을 위한 대화형 HTML 위젯이다. 사용자는 ipywidgets을 사용해 자신의 데이터를 제어하고 데이터의 변화를 시각화할 수 있습니다. 주피터노트북에서 Voila로

cold-soup.tistory.com

[Streamlit] Streamlit 명령어

[Streamlit] Streamlit 명령어

 Stramlit은 datascript를 웹서비스의 형태로 빠르게 공유할 수 있는 라이브러리이다. 프로토타입을 만들 때, 프론트엔드 경험이나 지식 없이도, 매우 쉽고 빠르게 만들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Voila

cold-soup.tistory.com

3) 피어세션 정리

이번 주 피어세션은 진짜 익사이팅한 롤러코스터를 타는 것 같은 느낌이었다. 이번 주 시작부터 사실은 암울하긴 했었고, 사실상 화요일 저녁부터 제대로 된 프로젝트를 수행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정리해두면 나중에 회고 등에 도움이 될 것 같아, 이번 주 피어세션 진행상황에 대해 간단히 정리해보고자 한다.
우리 팀은 사실 월요일까지 주제를 못 정해서 새로운 멘토님께 피드백을 받고, 지금까지 나온 주제 중 가장 무난한 주제를 정했다. 그리고 화요일에 선정한 주제에 대해, 정을 붙이지 못하고, 와이어 프레임과 워크플로우를 작성하던 중 팀원분께서 새로운 회의록 ODQA아이디어를 제시해주셨다. 해당 아이디어는 문제에서 출발한 주제이며, 지금까지 배웠던 지식들을 활용할 수 있으며, 시도하지 않은 새로운 주제라는 점에서 팀원들 모두 마음에 들어했다. 그렇게 화요일 저녁에 해당 아이디어로 급격하게 선회하게 됐다.
수요일날 메인 데이터셋으로 국회 회의록 데이터를 선정하고 조사를 진행했다. 하지만 회의가 너무 많으며, 안건이나 대화 내용이 너무 달라 우리 Task에 적용시키기 어렵다고 판단해 새로운 데이터셋을 조사했다. 그러다가 목요일에 대회 사이트에 정리되어 있는 의회 회의록 데이터를 발견했다. 특정 시의회에 해당하는 데이터로만 구성되어 있었으며, 주제 요약 Task를 위한 데이터셋이었다보니, 회의별로 명확한 주제가 나타나 해당 데이터셋을 메인 데이터셋으로 선정했다. 그리고 금요일에 데이터에서 질문을 뽑고, 우리 Task에서 필요한 QA 데이터 패턴을 정하고 가이드라인을 작성했다. 동시에 와이어 프레임과 워크플로우를 작성해서 틀을 잡았다.
이번 주 진행한 것을 보면, 저번 데이터 제작 가이드라인 1주차 내내 했던 것을 3일만에 수행했다. 이렇게 생각하니 또 나름 뿌듯하다는 생각이 드는 것 같다. 진짜 팀원분들이 모두 잘해주셨기 때문에 가능했던 일이었던 것 같다. 주말동안 데이터 제작과 남은 강의를 들어두면, 다음 주는 조금은 더 수월하게 작업할 수 있을 것 같다. 추가적으로 다음 주부터 코딩 스터디랑 이력서 제출을 위해 이력서를 다듬고, 회사 조사 등을 같이 진행할 수 있다면 좋겠다.

4) 학습 회고

이번 주 학습은 Product Serving에 관한 강의였는데, 좋아하는 마스티님이 진행하시는 강의였으며 주제도 흥미로워서 집중해서 듣고 싶었다. 하지만 프로젝트 진행이 막혀있다보니 제대로 집중해서 듣지 못했던 것 같다. 그래도 틈틈이 프로토 타입 제작에 도움이 되는 Streamlit이나 Ipywidget에 대해 정리도 해뒀고, 실습도 했다는 점에서는 의미가 있었다고 생각한다. 데이터 제작 때문에 시간이 부족할 수도 있겠지만, 다음 주 새로운 강의가 오픈되면 더 들을 시간이 없을 것 같아, 미리미리 들어둬야 할 것 같다.
그건 그렇고 이번 주가 벌써 18주차니까 20주차까지도 2주밖에 남지 않았다고 생각하니 감회가 새롭다. 마지막까지 루즈해지지 않게 열심히 해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