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과 유목민

[19주차] 개인 회고 (FinalProject_Week2) 본문

IT 견문록/2022_부스트캠프 AITech 3기(100일)

[19주차] 개인 회고 (FinalProject_Week2)

논곰 2022. 5. 27. 22:34

1) 강의 복습 내용

X

2) 과제 수행 과정 / 결과물 정리

Final Project CanbanBoard (22/06/15이후 Public 전환)


[일일리포트] Day 86 (FastAPI_1/FinalProject_6)

[일일리포트] Day 86 (FastAPI_1/FinalProject_6)

해당 일일리포트에서는 네이버 커넥트에서 진행하는 '부스트캠프 AI Tech 3기'에서 배운 내용을 다루고 있습니다. 저작권 이슈 때문에 관련 자료를 올릴 수는 없기에 핵심 이론과 코드를 요약해서

cold-soup.tistory.com

[일일리포트] Day 87 (FastAPI_2)

[일일리포트] Day 87 (FastAPI_2)

해당 일일리포트에서는 네이버 커넥트에서 진행하는 '부스트캠프 AI Tech 3기'에서 배운 내용을 다루고 있습니다. 저작권 이슈 때문에 관련 자료를 올릴 수는 없기에 핵심 이론과 코드를 요약해서

cold-soup.tistory.com

[일일리포트] Day 88 (FinalProject_7)

[일일리포트] Day 88 (FinalProject_7)

해당 일일리포트에서는 네이버 커넥트에서 진행하는 '부스트캠프 AI Tech 3기'에서 배운 내용을 다루고 있습니다. 저작권 이슈 때문에 관련 자료를 올릴 수는 없기에 핵심 이론과 코드를 요약해서

cold-soup.tistory.com

[일일리포트] Day 89 (FinalProject_8)

[일일리포트] Day 89 (FinalProject_8)

해당 일일리포트에서는 네이버 커넥트에서 진행하는 '부스트캠프 AI Tech 3기'에서 배운 내용을 다루고 있습니다. 저작권 이슈 때문에 관련 자료를 올릴 수는 없기에 핵심 이론과 코드를 요약해서

cold-soup.tistory.com

[일일리포트] Day 90 (FinalProject_9)

[일일리포트] Day 90 (FinalProject_9)

해당 일일리포트에서는 네이버 커넥트에서 진행하는 '부스트캠프 AI Tech 3기'에서 배운 내용을 다루고 있습니다. 저작권 이슈 때문에 관련 자료를 올릴 수는 없기에 핵심 이론과 코드를 요약해서

cold-soup.tistory.com

3) 피어세션 정리

이번 주 피어세션에는 데이터 파트를 끝내고 모델링을 주로 진행했다. 이전 대회 때 사용했던 Task와 유사했기에 베이스라인 선정은 어렵지 않았지만, 팀원들이 실험 세팅을 하는데 시간이 생각했던 것보다 오래 걸렸었다.
Reader모델의 경우 Roberta모델을 활용하기로 하고, 추가적으로 Kobigbird모델을 활용해 실험을 진행했다. 두 모델을 선정한 이유는 Roberta모델의 경우 bert에서 조금 더 발전한 모델이고, Kobigbird모델의 경우 긴 Sequnce에 강한 모델이기 때문에 우리 모델에 적용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다.
Retriever모델의 경우 Elastic Search를 활용하기로 했다. 현재 사용하는 Retriever모델 중 성능과 구현 가능성을 봤을 때 가장 용이하기 때문이었다. 다른 팀원분께서는 Colbert에 대해서도 조사를 하셨는데, 쉽지 않아보인다는 말씀을 하셨다. 그래서 이번에는 Elastic Search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향으로 모델 개선을 진행할 것 같다.

4) 학습 회고

이번 주에는 학습보다는 프로젝트 회고가 더 맞을 것 같다. 이번 주 학습은 화요일 FastAPI강의 들은 것 빼면 시간이 좀 많이 부족했었다. 해야할 거는 많다는 생각이 들었는데, 뭔가 주도적으로 얘기하기 어려웠던 것 같다. 이번 최종 프로젝트가 아닌 부캠 이후의 활동에 대해서 생각하게 되는 부분이 좀 많았었다. 물론, 나뿐만 아니라 다른 팀원들도 비슷한 생각을 하시다보니 더 마음을 잡기 힘들었던 것 같기도 하다. 그래도 목요일부터는 다시 마음을 잡을 수 있었고, 결국 이번 주까지 하려고 했던 부분들은 잘 구현을 했다. 그러니 생각해보면 급할 필요가 없는 것 같다. 서빙 쪽도 어느정도 틀이 잡혀 있고, 이를 잘 구현하기만 하면 될 것 같아서 크게 걱정하지 말고 마지막 주 팀원들과 화이팅해서 유종의 미를 거둬야겠다.
주말 중에 토요일은 다른 일이 있어서 시간을 풀로 쓰지는 못할 것 같긴 하다. 하지만 일요일에는 Serving 쪽 실습과 최종 프로젝트를 함께 끝낸다는 생각으로 조금 더 집중해서 월요일에 공유할 수 있을 정도로 만들어보고자 한다.

유종이 어머님 화이팅!